CA
ON
추천업소
추천업소 선택:
추천업소 그룹 리스트
  • 식품ㆍ음식점ㆍ쇼핑1
  • 부동산ㆍ건축ㆍ생활2
  • 미용ㆍ건강ㆍ의료3
  • 자동차ㆍ수리ㆍ운송4
  • 관광ㆍ하숙ㆍ스포츠5
  • 이민ㆍ유학ㆍ학교6
  • 금융ㆍ보험ㆍ모기지7
  • 컴퓨터ㆍ인터넷ㆍ전화8
  • 오락ㆍ유흥ㆍPC방9
  • 법률ㆍ회계ㆍ번역10
  • 꽃ㆍ결혼ㆍ사진11
  • 예술ㆍ광고ㆍ인쇄12
  • 도매ㆍ무역ㆍ장비13
  • 종교ㆍ언론ㆍ단체14
ywlee
경제 및 시사문예 종합지 <한인뉴스 부동산캐나다>를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더욱 품격 있는 언론사로 발전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블로그 ( 오늘 방문자 수: 373 전체: 652,579 )
아버지의 술잔
ywlee

 

 

 

 

 ‘…아버지의 눈에는 눈물이 보이지 않으나/아버지가 마시는 술에는 항상/보이지 않는 눈물이 절반이다/아버지는 가장 외로운 사람이다/아버지는 비록 영웅이 될 수도 있지만./폭탄을 만드는 사람도/감옥을 지키던 사람도/술가게의 문을 닫는 사람도/집에 돌아오면 아버지가 된다. ’ (김현승 ‘아버지의 마음’ 중)

 


 한국은 자고로 ‘엄부자친(嚴父慈親)’이 전통적 부모상(像)이었다. 아버지는 엄격하고 어머니는 자애로워야 했다. 모성애(母性愛)는 부드럽지만 부성애(父性愛)는 강해야 한다고 인식됐다. 아버지에겐 나약한 눈물 따위가 있을 수 없었다. 울고 싶어도 참아야 하며 눈물이 흐르면 남몰래 숨어서 울어야 했다. 그래서 아버지의 술잔에는 눈물이 반이었다.   


 아버지가 함부로 드러내놓고 자식사랑을 표하는 것도 한국적 가치가 아니었다. 그래서 아버지는 무서운 존재였다. 오늘날의 ‘아빠’들은 아이들과 스스럼없이 어울려 놀아주지만 옛날 아버지들은 기뻐도 표정 없이 그냥 빙그레 미소만 지을 뿐이었다.  


 구한말 미국의 동양학자 윌리엄 그리피스는 당시 조선의 실상을 기록한 ‘은자의 나라, 한국(Corea-The Hermit Nation)’에서 엄격한 부자(父子)관계를 이렇게 적었다. “아들은 아버지 앞에서 담배를 피워서도 안 되고 자세를 흩트려도 안 된다. 밥상에서도 아버지가 먼저 들기를 기다리며 아버지의 잠자리를 보아드린다. 아버지가 늙으셨거나 와병 중이면 아들은 그 옆에서 잠을 자며 밤낮으로 곁을 떠나지 않는다. ” 


 예전 우리들의 늙으신 아버지는 막걸리 냄새와 담배연기에 찌들어 목에 가래를 그렁거리던 모습이었으나, 그럼에도 여전히 범접하기 어려운 근엄함이 배어 있었다. 정지용 시인의 ‘향수’에서는 아버지의 장죽(長竹) 담뱃대 터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뷔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엷은 졸음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짚벼개를 돋아 고이시는 곳/그곳이 참하 꿈엔들 잊힐리야. ’


0…나는 여섯 살 무렵에 아버지를 여의었다. 지금은 병이라고 할 수도 없는 복막염으로 돌아가셨다. 그래서 나는 아버지에 대한 추억이 별로 없다. 더욱이 아버지는 사업을 하러 주로 밖으로 도셨기에 대화할 기회도 적었다. 그래서 아버지라고 불러본 기억도 별로 없고 돌아가신 후에는 아버지라는 호칭을 쓸 일이 없었기에 지금도 용어 자체가 어색하다. 다만 빛 바랜 흑백사진 속의 아버지는 옛날인데도 ‘하이칼라 머리’에 와이셔츠에 넥타이를 단정히 매고 웃으시는 모습이 멋진 쾌남아셨던 것 같다. 둘째 형님이 아버지를 많이 닮았다.      


 아버지가 오래토록 살아계셔 효도하는 사람을 보면 부럽기만 하다. 나에게 아버지가 좀더 오래 살아계셨더라면 나의 운명도 조금은 달라지지 않았을까 생각해볼 때가 있다. 아버지로부터 권력이나 부(富)를 물려받은 이들에 대해 본능적인 거부감을 갖게 된 것도 나의 이런 성장 배경 때문일 것이다. 나는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것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내가 나이가 들수록 건강에 신경을 쓰는 이유도 실은 이런 연유에 있다. 내가 일찍 아버지를 여의었으니 내 딸들만큼은 애비 없는 자식이란 소리를 듣지 않도록 해야겠다는 다짐 때문이다. 아버지로서 적어도 두 딸들 결혼식장엔 손잡고 들어가 줘야 할 것 아닌가. 그러자면 내 몸을 함부로 놀려 망쳐서는 안될 터이다. 최소한 평균수명 정도는 살아주는 것이 가장으로서의 책무이기도 할 것이다.   


0…지금은 예전의 가부장(家父長)적 권위가 사라진지 오래다. 삶에 지쳐 한잔 술에 취한 채 잠든 아버지의 모습은 그렇게 왜소해 보일 수가 없다. 특히 힘든 이민생활에 가족들 먹여 살리느라 하루종일 생업에 매여 일과 돈밖에 모르는 아버지. 잔재미라곤 하나도 없는 우리들의 아버지. 한국에서 넥타이 매고 출근하던 당당하고 멋진 아버지가 여기선 꾀죄죄한 모습으로 찌들어 있다. 


 물설고 낯선 타관의 삶에 누구는 그러고 싶어서 그리 된 것인가. 무기력하고 초라해진 아버지들의 자화상, 요즘처럼 어려운 시대에 그들이 설 자리는 더욱 없다. 방황하는 이 시대의 아버지들에게 용기를 주자. 인정머리 없고 돈밖에 모를 것 같은 그들의 가슴 속에도 따스한 숨결은 아직도 생생히 살아 있다. 아이들이 무시하고 대화에 끼여주지 않아도 그냥 허허 웃어넘기는 것이 우리의 아버지다. 


 한국의 아버지들은 어렵게 번 돈의 대부분을 자녀교육에 쏟아 붓는다. 아버지 열 명 중 여덟은 자기 자신보다 가족을 우선시한다는 사회여론 조사결과도 있다. 아버지는 오로지 가정과 자녀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것이다. 아무리 시대가 변해도 가정을 유지하기 위해 외부의 온갖 굴욕을 인내하며 살아가는 한국의 아버지 상(像)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0…6월 세번째 일요일(16일)은 캐나다에서 정한 아버지날(Father’s Day)이다. 어머니날은 선물이다 외식이다 하여 떠들썩하지만 아버지날은 대충 넘어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올해는 꼭 기억하여 아버지에게 작은 선물이라도 챙겨 드리자. 아버지들의 기를 살려드리자. 뒤늦게 자기의 취미생활에 빠졌다고 나무라지도 말자. 가장(家長)의 빈자리는 없을 때 더 큰 법이다. 아버지가 축 처져 집에 들어온 모습에선 가정도 힘을 잃는다. 


 나이를 먹어봐야 비로소 아버지와 가장의 진정한 의미를 깨닫는가 보다. 이제 중년에 드니 이미 오래 전에 돌아가신 아버지의 가슴 품이 간절히 그리워진다. ‘아버지는 태산 같은 존재/나이가 들수록 작은 동산의 둔덕/흔들림 없는 아름드리였다가/누구보다 연약한 갈대/수많은 감정들을 가슴에다 채우고/가장이라는 짐을 지고 휘청대는/참으로 외로운 사람인 것을!’ (김향숙 ‘아버지’) (사장)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