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soonja
한순자

경기도 여주 출생, 건국대 국어국문학과 졸업, 경기도 광수중학교 근무, 1992년 캐나다 이민, 캐나다문인협회 수필 부문 입상, 2006년 해외동포문학상, 작품집 <인생에 실패는 없다 다만 또 다른 삶이 있을 뿐이다>, <나이만큼 행복한 여자>, <밀리언 달러 티켓 나도 한장>,<행복이라는 이름의 여행> 외 다수
블로그 ( 오늘 방문자 수: 14 전체: 88,152 )
새로운 것이 더 좋아(4)
hansoonja

 

 (지난 호에 이어)
 어떤 이는 이민 갈 당시 광화문에 빌딩을 그때 시가로 몇 억도 잘 받았다고 하며 떠났는데, 지금은 그 자리 평당 가격만 해도 얼마라며 한탄을 하는 식의 사례는 여기저기서 보도가 되기도 하였다. 


 그렇게 경제적으로 여유가 생기고 부동산 값이 올라가고 하니 물질이 우선인 것처럼 사회 풍조가 그리 돌아가고 있음은 선진국으로 가고 있는 과도기에서 볼 수 있는 현상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가치관이 바로 정립되어야

 


 지난번 역이민을 시도하려 서울을 나갔더니 친구가 하는 얘기가 서울에선 돈이 사람이요, 돈이 없으면 사람대접도 받지 못한다는 거였다. 그런 사실, 그런 현상을 왜 모르겠나. 너도 나도 잘 살고 있는 현실 속에서 가진 것이 별로 없다 함은 변변한 직장이 없든지, 돈 버는 재주가 없든지, 정보에 어둡고 민감하지 못했다 해도 그 또한 무능한 사람 중에 하나일터이니 가진 것이 없고 적은 사람은 별 볼일 없는 사람 취급을 당하게도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물질만능시대의 풍조 속에서 살다 보니 돈에 관한 가치관이 무엇이냐, 물질이 무엇이냐 생각도 해보게 된다. 사람의 욕심, 욕망은 끝이 없어서 자칫 그 욕망의 노예, 그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그 물질만을 쫓다가 인생이 끝나버리기 십상이다. 


 하긴 사람이 산다는 것은 명예 욕구든 지식 욕구든 아닌 게 아니라 물질에 대한 욕구든 무엇엔가 살아가는 '희망이나 목표'를 두고 살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또 그래야만 살아가는 맛이 나고 삶이 시들하지 않고 살아지기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일부 명예 욕구나 지식 욕구를 채우는 사람이 아닌 경우는 물질, 즉 돈을 쫓아 살아가기 십상이다. 그래서 물질이 왜 다가 아닌지, 그렇게 물질만을 쫓을 필요가 없음을 차제에 한 번 돌아보았으면 한다. 


 오래 전 중국을 관광하게 되었다. 관광지 몇 군데 중에 늘 머릿속을 파고드는 생각이 있다. 중국의 황후 서태후는 세계에서 가장 길다는 장랑을 거닐며, 인공으로 파놓은 호수를 바라보며, 또 한 끼 식사하는데 120가지나 되는 반찬을 놓고 먹으며, 먹다 남긴 음식은 다른 사람도 먹지 못하고 버려야 하는 허황된 생활을 하면서 과연 얼마만큼 행복했겠는가 하는 의구심이다. 그 의구심이, 회의가 바로 오늘날 물질만능의 사회풍조가 어떻게 바로 잡아 나가야 할 것인가 하는 나 나름의 생각이다. 


 사람은 하루에 세 끼, 또는 그보다 적게, 또는 그보다 많다 해도 먹을 수 있는 양이 있다. 아무리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다한들 잘 먹고, 많이 먹고 싶어도 얼마나 먹을 수 있는지는 자신이 더 잘 알 수가 있다. 본인이 먹을 수 있는 양에서 조금씩만 더 먹는다 해도 소화불량에, 비만은 물론 배탈이 나기도 하고, 위에 부담이 가중되다 보면 위에 병이 생기기도, 심하면 위암까지 가기도 한다. 통계에 의하면 우리나라가 위암환자가 1위라 함은 주지하는 사실이다. 


 이렇게 우리가 보통 먹는 양보다 조금만 많아도 다 먹을 수가 없는데, 120가지나 되는 반찬을 놓고 먹었다 함은 정상적인 사람이라고 조차도 볼 수 없다. 거기다가 장랑을 거닐며 바라볼 수 있는 호수를 파기 위해 얼마나 많은 인력이 투입이 되었겠나 상상도 되지 않는데, 그 호수를 바라보며 얼마나 행복했으며 그 행복 자체에서 끝날 수 있었느냐 하는 것이다. 


 인간에겐 누구나 위를 향해서, 오늘보다 나은 내일을 위해서 살고자 하는 욕망이 있다. 그건 반드시 더 많은 재물을 모으기 위함도 아니고, 더 잘 살려는 욕구도 아니다. 그건 바로 인간이 무엇인가 끊임없이 ‘생각하는 동물’이기 때문이라고 본다. 어떤 한 가지를 생각하고 계획해서 그것이 달성이 된 다음엔, 다시 또 무언가 새로운 구상을 하게 되어있다고 봄이 옳을 것이다. 


 서태후가 그렇게 상식 이상의 행동을 했다는 것은 인간의 욕망이 끝이 없어서가 아니라 ‘생각의 끝없음’으로 보는 것이 더 정확하지 않겠나 하는 것이다. 또 서태후가 얼마나 이 세상을 살다가 갔는가 하는데 우리가 다시금 한 번 더 짚고 넘어갈 사안이 된다. 거기에 바로 ‘생명의 유한성’이 있다는 것이다.


 인간의 수명이 아무리 길다 해도 100년을 넘기기 어렵다. 설령 100세 이상을 산다 해도 그건 차라리 삶이 아니라 욕이 되는 것이다. 그나마 질병이 없을 때엔 천만다행이지만 건강하지도 못하면서 갖은 질병을 갖고 산다면 사는 의미가 무엇이겠는가 싶다. 


 인간의 수명을 120년으로 본다 해도, 그나마 인간답게 살아볼 수 있는 연령이라야 길게 잡아 90에서 100으로 보면 족하다. 그럼에도 한 평생 재물 모으기에 급급하다면 정말 어리석기 짝이 없는 일이다. 인간은 사회적인 동물이다 보니 어차피 혼자서는 살 수 없고, 인간끼리 어우러져 살아가게 마련이며, 그렇게 살 때만이 살아가는 맛을 더 느끼게도 된다. (다음 호에 계속)

 

 

<저작권자(c) Budongsancanada.com 부동산캐나다 한인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